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Packed age 5(옆집 아저씨)

Packed age 5(옆집 아저씨) , 2015 , objet on canvas , 145 x 112 cm


업실에 지나갈 때 마다 머리에 무스를 바르고 
하얀 와이셔츠를 입은 멋있는 차림에 피 묻은 장갑을 끼고  
빨간 앞치마를 멘 채 도축을 하는 사장님을 몇 년 동안 봐 왔다. 
그 모습을 볼 때마다 이질감을 느꼈다.
개인의 물건들은 개인의 취향이면서 동시에 사회적 계급을 말해준다. 
칼과 앞치마는 아저씨가 20년동안 사용한 것을 그대로 가져왔다.
과거에는 백정을 상놈이라는 천한 신분으로 여겼다.
하지만 이 아저씨는 구찌 허리띠를 메고 페레가모 구두를 신는다. 현대판 명품 백정이다.
 나는 여기서  ‘명품’를강조한다. 
사실 여기엔 흥미로운 역설이 있다.  
천한 신분일 수록 그것을 벗어나려고 하고, 
벗어난 것처럼 보일 수록 충격적인 원점의 진실이 더욱 드러난다는 역설.
지젝은 어디선가 에일리언의 변신술을 가지고 그런 실재계의 개념을 설명한 적이 있다. 
에일리언이 아무리 인간으로 변신을 잘 했다곤 하더라도, 
촉수 한 두 개 정도는 절대로 감추지 못한다는 것이다. 
거기서 우리는 소위 ‘언캐니’라는것을느낀다. 
나는 아마 옆집 아저씨의 앞치마에서 에일리언의 그런 촉수를 느낀 것이 아닐까.
<Packed age5>의 오브제들은 정육점 아저씨가 구찌 등 명품의 소비를 통해 감추고 싶어하지만 
어쩔 수 없이 (생계 등의 이유로) 신체 자체가어버린 사물이다. 
우리는 그걸 보면서 불편하게 느끼는 건 사실이다. 정육점 같은 경우도 사실, 
도축이라는 행위를 개인의 생활사에서 아웃소싱해버린 시스템이 아닌가? 
보고 싶지 않은 거다. 분열증적 개인-대중이랄
소비를 통해 대중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고 싶지 않은 개인과, 
그 소비를 하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동반되는 부정적인 어떤 요소. 
두 가지는 동전의 양면이란 생각이 든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ading Practice 2

Reading Practice 2, two-channel video, 9'28", 2016 https://youtu.be/WpRXFEcg4dY 나에게 사회는 ‘읽기’와 ‘연습’이었다.   ‘읽기’는 생각을 직관적으로 내뱉는 말하기와 다르다.  이 작업에서 읽기란,  이미 교정이 끝나서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인 면에서 매끄러운 글을 읽는 것이다.  이것은 자유럽게 말을 한다는 것이 얼마나 고단한 일인가에 대한 반어이다.   우리는 가정에서  학교, 직장등 소속규모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말하기와 읽기의 차이를 알아간다.  그리고 마주치는 다양한 상황에서 뜻밖의 물음과 시선에 잘 대응하기 위해  연습이 필요하다는 메세지를 담은 내용의 작업이다.   화면에 등장하는 작가 개인이 하나의 대명사가 되어  취하는 행동들을 통해서  우리 속한 사회의 구조를 보여주려는 시도이다.  여성이 읽는 텍스트는 곧 ‘말하다’이다.  말을 하는데는 용기가 필요하다.  혼자서 하는 생각이나 퇴고가 가능한 글과 다르게 직관적이기 때문에  마주한 상황과 타협할 시간이 별로 없다.  10 초에 한 번씩 회초리가 내려친다 . 작가는  진술서 , 은퇴서, 신문의 사설을 뒤죽박죽 무의식적으로 섞어 놓은 것을 읽는다 . 우리는 매순간 일부러 자각하지 않아도 억압을 느낄 수 있다.  작가 는 자신의 신체를 버티기 힘들 정도로 ‘ 학대’를 한다.  관객은 자신의 신체를 괴롭히는 작가의 행위를 보면서 가슴으로 느낀다.  어느 인터뷰에서  작가 는 자신의 작품을 시작하게 된 동기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저는 심리나 감정으로부터 작업이 시작되는데, 그게 아니라고 하시는 분들이 종종...

읽기연습 reading practice _ 4' 28" _ video _ 2015

https://youtu.be/dkQ-ndx6f7k 읽기연습 reading practice _ 4' 28" _ video _ 2015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dkQ-ndx6f7k A woman reads text with a book on her head. The contents of the text consist of experience as a woman, artist, wife and daughter. The inner most thoughts that couldn’t be said and interasting events from the new. The work showns clearly how hard it is for a person to make public speech that doesn’t go through censorship in society The work shows my ambivalent attitude towords the comfortableness of the normative structure I try to escape from and the rules that I never agreed, but still must protect. 작가는 텍스트를 읽어 나간다 .  텍스트의 내용은 여성 ,  작가 ,  아내 ,  딸 로서 겪었던 본인의 경험 ,  하고 싶었지만 내뱉지 못했던 속마음 ,   뉴스에서 나온 흥미로운 사건들로써 ,  한 인간이 사회에서 검열을 거치지 않는 공적인 발화가 얼마나 힘든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  내가 지키고자 하는 ,  지켜야만 하는 규범적 구조같은 것이 사실 내가 합의한 적 없는 ,  주어진것에 대한 거부감는에서 오는 것이지만 또 억압에서 벗어나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