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ing Practice 2, two-channel video, 9'28", 2016 https://youtu.be/WpRXFEcg4dY 나에게 사회는 ‘읽기’와 ‘연습’이었다. ‘읽기’는 생각을 직관적으로 내뱉는 말하기와 다르다. 이 작업에서 읽기란, 이미 교정이 끝나서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인 면에서 매끄러운 글을 읽는 것이다. 이것은 자유럽게 말을 한다는 것이 얼마나 고단한 일인가에 대한 반어이다. 우리는 가정에서 학교, 직장등 소속규모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말하기와 읽기의 차이를 알아간다. 그리고 마주치는 다양한 상황에서 뜻밖의 물음과 시선에 잘 대응하기 위해 연습이 필요하다는 메세지를 담은 내용의 작업이다. 화면에 등장하는 작가 개인이 하나의 대명사가 되어 취하는 행동들을 통해서 우리 속한 사회의 구조를 보여주려는 시도이다. 여성이 읽는 텍스트는 곧 ‘말하다’이다. 말을 하는데는 용기가 필요하다. 혼자서 하는 생각이나 퇴고가 가능한 글과 다르게 직관적이기 때문에 마주한 상황과 타협할 시간이 별로 없다. 10 초에 한 번씩 회초리가 내려친다 . 작가는 진술서 , 은퇴서, 신문의 사설을 뒤죽박죽 무의식적으로 섞어 놓은 것을 읽는다 . 우리는 매순간 일부러 자각하지 않아도 억압을 느낄 수 있다. 작가 는 자신의 신체를 버티기 힘들 정도로 ‘ 학대’를 한다. 관객은 자신의 신체를 괴롭히는 작가의 행위를 보면서 가슴으로 느낀다. 어느 인터뷰에서 작가 는 자신의 작품을 시작하게 된 동기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저는 심리나 감정으로부터 작업이 시작되는데, 그게 아니라고 하시는 분들이 종종...
Korea contemporary artist Jeong Joohee " I was extended minor shocks from personal experience through critical perception combined with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 "
댓글
댓글 쓰기